2025년 7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일정 총정리
7월 신청은 **요일별 출생년도 5부제**로 진행됩니다. 해당일에만 ‘취급은행 앱’을 통해 신청할 수 있어요.
- ✔ 7월 1일 ~ 5일 : 신청 시작
- ✔ 7월 8일 ~ 12일 : 5부제 계속
- ✔ 7월 15일 ~ 19일 : 가입요건 확인 / 1인가구 개설
- ✔ 7월 22일 ~ 26일 : 적격자 순차 계좌 개설
- ✔ 7월 29일 ~ 31일 : 전체 대상자 계좌 개설
은행 앱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, IBK기업·농협·신한·우리·하나·국민 등 대부분의 시중은행이 참여합니다. 7월 9일 이후에는 **비과세소득 대상자**만 따로 증빙서류가 필요하니 주의하세요.
2025년부터 달라진 청년도약계좌 핵심 개편 사항
7월부터 적용된 개편 내용은 4가지입니다.
1. 기여금 상향 (최대 3.3만 원)
기존 최대 월 2.4만 원에서 2025년부터는 **최대 3.3만 원**까지 지원됩니다.
기여금은 납입한 금액만큼 지급되고, 5년 만기 시 이자 포함 최대 5천만 원 이상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.
2. 유지 시 혜택 강화
3년 이상 유지하면 중도 해지 시에도 기여금 60%와 비과세 혜택을 유지해줍니다. 이전에는 5년 만기 유지 조건이었지만, 이제는 중간 해지해도 일부 혜택이 남습니다.
3.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부여
2년 이상,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KCB/NICE 기준 **5~10점 가점**이 자동 부여됩니다. 이는 추후 대출이나 금융 거래 시 신용등급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4. 부분인출 가능 조건 완화
이전엔 부분인출 불가였지만 2년 이상 유지 시 **납입금의 40% 이내**에서 인출 가능합니다. 갑작스러운 자금이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다시 확인!
신청 전 아래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.
- ✔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
- ✔ 개인소득 6,000만 원 이하
- ✔ 가구소득 중위 180% 이하
- ✔ 직전년도 근로·사업소득 600만 원 이상
- ✔ 국세·지방세 체납이 없을 것
청년이라도 부모 소득이 높으면 가구 기준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. 꼭 ‘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’ 기준을 확인하세요.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신청 방법은?
은행 앱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아래 은행 중 본인 계좌가 있는 앱에서 진행하면 됩니다.
- IBK기업은행, NH농협은행, 신한은행, 우리은행
- 하나은행, KB국민은행, 전북은행, 광주은행
- BNK부산·경남은행, iM뱅크(대구), 카카오뱅크
은행 앱마다 **UI가 달라** 조금씩 다르지만 모두 ‘청년도약계좌 → 가입 신청 → 서류 제출’로 진행됩니다. 7월 신청자 중 ‘1인가구’ 대상은 7월 17일부터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.
7월에 꼭 해야 할 것 3가지 체크
✅ 1. 5부제 신청일 놓치지 않기 → 출생년도 요일 기준 확인 → 하루라도 늦으면 신청 지연 ✅ 2. 소득증빙서류 미리 준비 →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,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 등 ✅ 3. 내 소득구간 기여금 금액 확인 → 매달 납입 가능 금액 계산 후 시작
다시 한번 오늘의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해 보자면,
2025년 7월 청년도약계좌는 기여금 상향, 신용점수 가점, 부분인출 허용 등 이전보다 훨씬 유리하게 개편됐습니다. 신청은 **출생년도 5부제 일정**에 따라 진행되며 은행 앱을 통해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정부 지원금 중 장기 혜택이 가장 크고 만기 시 목돈 마련에 효과적인 제도이니 조건이 맞는 청년이라면 절대 놓치지 마세요.